원자력추진 잠수함2 호주 싱크탱크, 핵잠수함 도입까지의 갭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에서 오야시오급 잠수함 도입 제안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지난 12월 23일에 원자력추진 잠수함의 도입까지의 갭을 메우기 위해 “일본의 오야시오급 잠수함 도입을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호주는 프랑스로부터 어택급 잠수함 계획을 결정할 당시보다 중국의 위협이 커지자 안보정책 요건을 변경하여 어택급 디젤잠수함의 조달을 중단하고 핵잠수함 도입으로 방침을 전환했지만 호주 현지 건조라면 2040년대에 핵잠을 도입할 수 밖에 없으며, 완제품 수입도 2030년대에나 가능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계획의 단점은 중국의 위협이 증가하는 2020년대에 잠수함 전력 확장이 늦어지고, 수명연장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콜린스급 잠수함이 노후화됨에 따라 핵잠수함 도입에 필요한 승조원들의 훈련 기회가 감소한다는 점이며, .. 2021. 12. 28. 독일에 의존하고 있던 잠수함의 핵심기술을 개발해버린 한국 잠수함은 모든 해양 운송체계들중에서 가장 조밀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잠수함은 치명적이며 은밀한 최고의 전쟁무기입니다. 깊은 바다에 조용히 잠항중인 잠수함은 모든 군함에게는 악몽과도 같습니다. 따라서 잠수함의 이러한 효력은 여러 전쟁에서 이미 증명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최고의 전쟁무기에게 유일한 적은 적군의 잠수함이 아니라 바다 그자체입니다. 깊은 바다속의 압력은 잠수함을 박살낼 수도 있습니다. 깊은 바다에서 승무원들을 지켜내는 것은 잠수함의 압력선체입니다. 이 압력선체의 설계 고도화를 위해 지난 2019년에 국내 업체들이 뭉쳤습니다. 대우조선해양과 철강사인 포스코, 그리고 한국선급(KR)은 잠수함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잠수함용 특수강을 공급하.. 2021. 12.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