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BDA5

IRIS-T SLM, 스위스 방공미사일 사업 단독 입찰 노르웨이의 방산 기업 콩스베르그와 유럽의 방산 대기업 MBDA는 스위스 연방 방위 조달청(armasuisse)에 새로운 중거리 지상 기반 방공 시스템(Bodluv MR) 평가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이로써 독일의 Diehl Defence만이 IRIS-T SLM 시스템을 보유한 유일한 참여자가 되었습니다. armasuisse가 2024년 4월 30일에 제안 요청서를 발행한 후에 철회했습니다. Diehl Defence는 여전히 경쟁에서 유일한 잠재적 제조업체입니다. 평가 프로세스는 계획대로 계속 진행되며, 목표는 스위스의 방어 능력을 가능한 한 빨리 강화하기 위한 중거리 방공 시스템을 조달하는 것입니다. 스위스 의회는 현재 조달을 2025년에서 2024년으로 앞당기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2024. 8. 11.
포병 전력으로 회귀하는 유럽 유럽 국가들은 고도의 방공시스템의 발전으로 공중에서 목표물에 접근이 어려워지자 포병전력 투자가 활발했고, 록히드마틴과 라인메탈은 HIMARS 기반 GMARS 개발을 발표했으며, 이스라엘 엘빗과 KNDS도 PULS 다연장 로켓시스템 기반 EuroPULS 생산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에서는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대규모 지상전이 다시 유럽에서 발생할 가능성과 고도의 방공시스템의 보급으로 접근거부가 성립될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항공전력 의존 화력투사 능력을 지상전력으로 되돌리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곡사포·자주포·다연장로켓 시스템 등이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상발사형 장거리 공격무기는 접근거부가 성립된 전장에서 필수적인 공격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에스토니아와 .. 2023. 9. 16.
영국, '전례없는 기술이전 약속'으로 폴란드에 CAMM 수출 영국의 MBDA UK는 CAMM 공급계약을 폴란드군과 체결했다라고 밝혔습니다. 폴란드는 MBDA UK와 19억파운드(약 3조 1천억원)의 계약을 맺고 '근거리 방공시스템 투자규모로는 유럽 최대'라고 보도하고 있어, 폴란드는 근거리 방공능력이 비약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폴란드군이 구축을 추진 중인 다층식 방공시스템은 2개 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층은 미국에서 도입한 패트리엇 시스템(PAC-3 형태)으로 구축하고, 하층은 구소련제 ZU-23-2와 GROM/Piorun을 탑재한 필리카(SHORAD)로 커버할 예정이지만 필리카에 탑재된 MANPADS로 커버할 수 있는 범위는 약 7km 정도밖에 되지 않아 9K33 갱신에 맞춰 필리카에 추가되는 근거리 방공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것입니다. 이 계약을 두고 .. 2023. 5. 2.
MBDA, HIMARS 및 M27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순항 미사일 JFS-M 발표 유럽의 MBDA는 독일 베를린 항공쇼에서 HIMARS나 M27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합동화력지원미사일(JOINT FIRE SUPPORT MISSILE/JFS-M)을 발표했습니다. MBDA가 발표한 JFS-M은 독일 육군용으로 개발된 간접공격 옵션으로 미국산 다연장로켓시스템(HIMARS나 M270)이 사용하는 런처로 운용이 가능한 순항미사일입니다. MBDA 설명에 따르면 JFS-M은 액티브 시커와 패시브 시커를 모두 탑재할 수 있고 교전 범위는 1km~300km 이상이며 런처에 최대 2발을 탑재할 수도 있지만, 기존 로켓탄과도 같이 사용할 수도 있어 HIMARS라면 최대 2발, M270이면 최대 4발을 탑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HIMARS나 M27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대지 미사일인 'ATACMS'.. 2022. 7. 5.
알제리와 앙숙인 모로코, 알제리 견제를 위해 이스라엘에서 Barak-8 도입을 이스라엘과 협의중 모로코는 수교한 이스라엘과 Barak-8 도입에 관한 협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안보 분야에서의 양국 관계가 급접근하고 있습니다. 알제리와 모로코는 길이 1427㎞의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웃나라입니다. 역사와 문화에서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언어도 비슷하지만 서사하라 영유권 문제로 수십년 동안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습니다. 모로코는 1975년 스페인 식민통치가 끝난 뒤 합병한 서사하라 영토를 자국의 남부지방이라며 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서사하라 영토에 풍부한 광물 자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알제리는 서사하라의 독립을 촉구하는 ‘폴리사리오 운동’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알제리를 비롯해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폴리사리오가 지향하는 ‘사하라위 아랍민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 202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