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잠수함5 이집트, 일본에서 잠수함 도입?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방위시장 동향을 전하는 Tactical Report는 지난 2일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조선소가 일본의 가와사키중공업과 소류형 잠수함 수출, 현지 생산에 관한 기술 이전 및 라이센스 계약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집트 해군은 2021년 7월에 209/1400형 잠수함을 마지막으로 취득했고, 독일에서 도입한 4척의 209/1400형은 노후한 로메오형 잠수함(중국산)을 대체하기 위한 잠수함으로 예상됐으나, 이집트는 독일에서 잠수함을 도입한 이후에도 새로운 잠수함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프랑스 라 트리뷴지는 "지난 2022년에 호주가 버린 프랑스의 바라쿠다급 잠수함(슈프란급 핵잠수함의 통상 동력 버전으로 공격급 잠수함)에 이집트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잠수.. 2023. 6. 6. 차기 잠수함 도입을 검토 중인 캐나다, 캐나다 해군 관계자가 한국 조선소 시찰 캐나다 언론들은 빅토리아급 잠수함의 후계함을 검토중인 캐나다 해군 관계자들이 이달 중 한국과 일본에 시찰단을 파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으며, 이에 대해 국내 언론들은 지낝 16일에 캐나다 해군 관계자들이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조선소를 둘러봤다고 보도했습니다. 캐나다 해군은 10년 이내에 퇴역이 시작되는 빅토리아급 잠수함을 대체하기 위해 최대 12척의 신형 잠수함을 도입하겠다고 캐나다 정부에 압박하고 있으나, 캐나다 정부 내부 문건에 따르면 신형 잠수함 도입에는 최소 15년이 걸릴 것이며 채용하는 도입 전략에 따라 25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국방 지출을 캐나다내 고용과 연계시키는 건조 방식으로는 시간이 걸린다는 뜻으로, 캐나다 해군의 톱시 사령관은 시간적 제약과 해군의 요구를 감안할 때.. 2023. 5. 18. 일본, 해상자위대 잠수함에 순항미사일 탑재과 수직발사장치(VLS) 채용 검토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 12월 30일에 일본 정부가 해상자위대 잠수함에 12식 지대함 유도탄 기반의 신형 순항미사일 탑재와 수직발사장치(VLS) 채택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각의에서 개발이 결정된 12식 지대함 유도탄 기반의 신형 순항미사일인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 향상형(사거리 900km/최종 1,500km까지 확장)'을 해상자위대 잠수함에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으며, 잠수함의 어뢰발사관을 사용하는 방식과 함께 수직발사장치(VLS) 채택도 검토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미 해군의 핵잠수도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어뢰발사관에서 발사할 수 있지만 잠수함의 탄고용량(어뢰나 대함미사일 등을 저장해 두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고, 미리 토마호크를 탑재한 수직발사.. 2022. 1. 1. 호주 싱크탱크, 핵잠수함 도입까지의 갭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에서 오야시오급 잠수함 도입 제안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지난 12월 23일에 원자력추진 잠수함의 도입까지의 갭을 메우기 위해 “일본의 오야시오급 잠수함 도입을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호주는 프랑스로부터 어택급 잠수함 계획을 결정할 당시보다 중국의 위협이 커지자 안보정책 요건을 변경하여 어택급 디젤잠수함의 조달을 중단하고 핵잠수함 도입으로 방침을 전환했지만 호주 현지 건조라면 2040년대에 핵잠을 도입할 수 밖에 없으며, 완제품 수입도 2030년대에나 가능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계획의 단점은 중국의 위협이 증가하는 2020년대에 잠수함 전력 확장이 늦어지고, 수명연장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콜린스급 잠수함이 노후화됨에 따라 핵잠수함 도입에 필요한 승조원들의 훈련 기회가 감소한다는 점이며, .. 2021. 12. 28. 일본 "대만의 잠수함용 리튬전지 판매 요청 거절" 지난 11월 2일에 대만의 4대 언론사중에 하나인 연합보는 흥미로운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연합보에 따르면 대만이 현재 건조중인 잠수함에 리튬배터리 탑재를 고려했지만 일본이 대만에게 판매를 거부해서 대만은 현재 리튬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라는 기사입니다. 우선 기사의 전문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미 6년전에 대만 정부는 대만내에서 잠수함 건조을 결정했고 리튬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당시 대만은 일본의 리튬배터리 제조회사에 리튬 배터리 구매하기를 위해 접촉했지만 일본기업은 대만의 요청을 무시하고 리튬베터리 판매를 거절했습니다. 때문에 대만은 스스로 연구개발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리튬 배터리의 안전성과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할 때 대만은 리튬 티타늄 배터리를 연구개발의 목표로 삼았.. 2021. 12.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