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사 레이더7 한국과 이탈리아, "미국산 레이더의 독점을 막기 위해 손 잡았다" 한국과 이탈리아가 경전투기(LCA)용 AESA 레이더 개발과 수출에서 손을 잡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현재 FA-50과 M-346이라는 플랫폼을 개발하여 수출하고 있어, 양국이 공동으로 미국의 팬텀스트라이크 레이더의 독점을 막고 LCA용 레이더 공급으로 입지를 강화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언론과 외신들은 지난 6월 26일에 폐막한 파리 에어쇼에서 '한국과 이탈리아가 경전투기(LCA) 레이더분야에서 손잡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한화시스템즈의 KF-21용 AESA 레이더 안테나 기술과 레오나르도의 신호처리 및 전원기술을 결합하여 LCA용 AESA 레이더 개발수출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해외의 AESA 레이더 시장을 공략할 계획인 .. 2023. 6. 28. 말레이시아 정부 'FA-50 2차 조달 승인, 주문 대수는 18대에서 36대로 증가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보도자료에서 말레이시아에서 열리고 있는 LIMA 2023에서 말레이시아 정부가 FA-50 추가 발주를 승인했다고 밝혀, 이로써 말레이시아 발주량은 18대에서 36대로 늘어나 FA-50의 주문량은 모두 92대로 늘어났습니다. 말레이시아 공군이 추진하던 경전투기 입찰(FLIT/LCA 프로그램)에는 호크기와 MB-339CM 갱신, 그리고 퇴역한 MiG-29의 공백을 메우겠다는 두 가지 목적으로, 도입할 경전투기에는 시야 외 전투능력, 공중급유능력, 초음속비행, 국산화 비율 30% 등을 요구했습니다. 이 입찰에는 인도 테자스 MK.1A, 러시아 MiG-35, 한국 FA-50, 이탈리아 M-346FA, 중국 JF-17, 터키 휴르제트 등 6개사가 참여해 최종 FA-50이 말레이시아 공군의 경전투.. 2023. 5. 25. LIG넥스원, FA-50용 AESA 레이더 발표 LIG넥스원은 지난 2일에 FA-50에 탑재할 수 있는 AESA 레이더 시제품을 선보였습니다. FA-50용 AESA 레이더는 미국 레이시온사의 팬텀스트라이크 레이더와 같은 질화갈륨(GaN) 기술로 제조된 반도체 송수신 소자를 사용하는 공랭식 레이더라고 국내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21년에 발표한 FA-50 업그레이드 계획(Block20)에는 AESA레이더, 대형 콕핏용 디스플레이, 전자전시스템, 목표조준팟, 신형 전술데이터링크, 공대지순항미사일, 시야외 공대공미사일, 밀착형 휴대용 연료탱크/CFT, 공중급유능력 등의 통합이 예정돼 있습니다. 그동안 FA-50용 AESA 레이더는 KF-21용을 소형화할 것으로 소문이 났으나, LIG넥스원이 선보인 FA-50용 AESA 레이더는 .. 2023. 5. 4. 인도네시아, 한국 KF-21 에이사 레이더 못 믿겠다,그리펜 레이더 기술에 눈을 돌리고 있는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 한국형 차세대 전투기 KF-21 보라매의 레이더 성능이 약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지난 15일 인도네시아 현지매체 조나자카르타는 "KF-21 보라매에 장착될 AESA 레이더의 성능이 예상외로 약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레이더와 우주 무기체계 등 11종의 무기체계에서 한국의 기술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AESA 레이더 개발 등 핵심기술의 연구개발이 현재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AESA 레이더의 성능부족의 근거로 삼은 자료가 좀 우습습니다. 해당 내용은 국방부 산하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지난 10일에 공개한 '2021 국가별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를 근거로 삼고 있습니다. 해당 조사서에서는 우리나라 국방과학기술 중 레이더와 우주무기체계 분야가 취약하다고 평.. 2022. 1. 20. 미국과 영국에게 뒤통수 맞은 프랑스, 미국과 사이나쁜 터키에 라팔전투기 배치한다 미국과 영국 호주의 오커스 설립으로 이들 나라에게 뒤통수를 맞은 프랑스가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보일지는 많은 나라에게 관심사입니다. 특히 외신에서는 프랑스가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은 터키에게 라팔전투기의 기술을 이전할 수 있다라는 보도도 나오고 있으며 주한 프랑스 대사는 우리나라와 핵폐기물 재처리 기술을 비롯한 국방기술 협력 의향이 있음을 시사해 이목을 끌었습니다. 특히 프랑스는 미국의 텃밭이였던 터키의 방위산업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미국과 영국 호주의 오커스 설립으로 프랑스가 독자노선을 가속화 할 지도 눈여겨 봐야합니다. 지난 7월 29일 미국 언론인 Breaking Defense는 프랑스가 터키에 라팔 전투기 판매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라팔 전투기 뿐만 아니라 터키의 군수시장에 참여하기.. 2021. 12. 20. 미국의 부품이 들어간 전투기의 수출을 철저하게 차단하고 있는 미국 지난 9월 8일 영국의 방위전문 매체인 JANES는 영국은 6천 비행시간으로 설정되어있는 타이푼 트랜치 1 30대를 2025년까지 퇴역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025년에 퇴역할 타이푼 트랜치원의 기체수명은 아직 많이 남아있어 영국은 타이푼 트랜치 1 30대를 해외에 판매하기를 원하지만 미국과 유럽 등의 동의를 얻어야 해서 중고기 수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영국 공군은 업그레이드 계획에서 빠진 타이푼 트랜치 1 단좌기 24대와 복좌기 6대 등 총 30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타이푼 트랜치 1은 이미 실전 임무에서 제외된 상태이며, 따라서 영국 공군은 2025년까지 타이푼 트랜치 1을 퇴역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타이푼중 가장 오래된 트랜치 1은 공대공 전투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전자전팟도 휴대.. 2021. 12.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