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ka34 초기 생산이 시작된 XQ-58A 무인 전투기, 미 해병대는 F-35B와의 조합에 관심 크러스트사가 개발한 XQ-58A의 초기 생산이 시작되면서 미 공군뿐 아니라 미 해병대도 XQ-58A를 도입할 예정이어서 활주로 운용에 의존하지 않는 F-35B와 XQ-58A의 조합에 관심이 있는 것 아니냐는 후문입니다. 예전 군용기 개발의 꽃이라고 하면 '유인전투기'를 가리키는 말이였지만 이미 전투기 개발 중심은 유인기에서 무인기로 이행되고 있습니다. 미 공군은 협조전투기(Collaborative Combat Aircraft=CCA/유인전투기와 연동하는 무인전투기)에 대해 "한 대의 유인기에 2대의 CCA를 준비하기 위해 CCA의 규모는 1,000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고, 미 해군도 항모항공단의 무인기와 유인기 비율이 '40%-40%(최종적으로 구체적인 구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크러스트사의 .. 2023. 5. 8. 터키항공우주산업, 5월말 까지 스텔스 무인 항공기 ANKA-3의 첫 비행에 도전 터키항공우주산업은(TAI) " 5월 중순까지 스텔스 무인기 ANKA-3의 첫 비행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현재 튀르키예가 개발중인 5세대 전투기 TF-X와 경공격기 Hürjet, F-16과 같은 유인기와의 연동이 가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푸아트 옥타이 부통령은 지난해 말에 "2023년은 방산업계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며, ANKA-3로 명명된 무미익기 스텔스 무인기가 터키항공우주산업(TAI)에서 등장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튀르키예 정부는 약속대로 지난 3월에 ANKA-3를 공개했고, 현지 언론 취재에 응한 터키항공우주산업(TAI) 관계자는 "올해 5월까지 ANKA-3를 날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주목됩니다. ANKA-3는 기체 하부에 Mk.83을 탑재할 수 있는 웨폰베.. 2023. 4. 29. 튀르키예, 경항모에서 운용할 수 있는 무인공격기(UCAV) 공개 튀르키예 바이카르사의 셀추크 바이락탈은 지난 27일에 TB3를 공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셀추크 바이락탈 CEO는 "TB3는 강습상륙함에서 운용하기 위한 단거리 이착륙과 주익 접이가 가능한 함재기 버전인 무인 공격기(UCAV)"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락탈사가 개발 중인 TB3의 외형은 TB2와 비슷하지만 최대 이륙 중량(700kg→1450kg)과 페이로드(150kg→280kg)가 확장되었고 기체 크기 면에서도 TB2가 아닌 미국의 MQ-1C(그레이 이글)에 가까운 기체입니다. 바이락탈사는 튀르키예 해군의 강습상륙함 아나돌루함에 최대 80대의 TB3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륙시에는 '감김식 케이블 가속력'을 이용하는 방식을 제안 중이며, 착륙에는 어레스팅 와이어 등의 제동장치가 필요없는 것으.. 2023. 3. 28. 튀르키예, 5세대에 이어 스텔스 무인기 ANKA-3도 공개, 곧 첫 비행 도전 터키항공우주산업은 5세대 전투기 TF-X 시제품을 예정대로 롤아웃시켰으며, 푸아트 옥타이 부통령이 예고한대로 스텔스 무인기 ANKA-3도 공개하며 곧 첫 비행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푸아트 옥타이 튀르키예 부통령은 지난해 말에 "튀르키예 방산업계에 2023년은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며, ANKA-3로 명명된 무미익기 스텔스 무인기가 TAI에서 나올 것"이라고 예고했고, TAI는 약속대로 ANKA-3를 공개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TAI CEO는 "곧 ANKA-3가 첫 비행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공개된 기체는 목업이 아니라 실제 기기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양은 알 수 없으나 '기체 하부에 무기를 휴대하기 위한 웨폰베이를 갖추고 있다'는 튀르키예는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아마도 IS.. 2023. 3.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