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av5 자체 개발 장거리 무인공격기 양산화에 1조원 투자 결정 국내 언론에서 개발이 완료된 UCAV MUAV(MQ-9에 해당)를 양산하기로 결정한다고 보도했습니다. 과거 노무현 정부는 2006년에 미국의 MQ-1의 성공을 보고 독자적으로 MALE(중고도를 장시간 비행할 수 있는 무인기를 일컫는 카테고리) 타입 무인항공기(UAV) 개발에 나섰습니다. 이후 대한항공이 개발한 MUAV(일명 KUS-15)를 2015년까지 전력화할 예정이었으나, 이명박 정부들어 난립한 UAV 개발계획을 문제 삼았고, 또한 미국에서 글로벌 호크 RQ-4 도입을 추진해 결국 2011년에 국산 무인공격기 도입은 중단되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호크의 도입가격이 2배로 급등하면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MUAV 계획이 부활되었습니다. 당초에는 2021년에 MUAV의 양산화를 시작한다고 보도되었으나, 통신시.. 2023. 8. 22. 중국 언론, "수출용 군용 무인기에 킬스위치 설치는 상식" 중국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지난 17일에 중국이 해외 고객에게 수출하는 군용 무인기에는 중국 국경에 접근할 수 없는 기능이 탑재돼 있다고 보도했으며, 중국 군사분석가들도 중국이 해외에 수출하는 무기에 감시도구를 탑재하는 것은 상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튀르키예의 BAYKAR사의 최고경영자인 헐크 바이락탈은 지난해 유라시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산 무인기는 중국 국경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같은 숨겨진 제한적인 기능과 열악한 성능 때문에 일부 고객은 TB2와 같은 튀르키예제 무인기로 눈을 돌리게 됐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당시 헐크 바이락탈 CEO의 발언은 중국제 무인기에 대해 많은 의문을 던졌으며, 이에 대해 최근 중국의 언론이 헐크 바이락탈 CEO의 발언이 사실인 것을 확인해 줘.. 2023. 5. 19. 초기 생산이 시작된 XQ-58A 무인 전투기, 미 해병대는 F-35B와의 조합에 관심 크러스트사가 개발한 XQ-58A의 초기 생산이 시작되면서 미 공군뿐 아니라 미 해병대도 XQ-58A를 도입할 예정이어서 활주로 운용에 의존하지 않는 F-35B와 XQ-58A의 조합에 관심이 있는 것 아니냐는 후문입니다. 예전 군용기 개발의 꽃이라고 하면 '유인전투기'를 가리키는 말이였지만 이미 전투기 개발 중심은 유인기에서 무인기로 이행되고 있습니다. 미 공군은 협조전투기(Collaborative Combat Aircraft=CCA/유인전투기와 연동하는 무인전투기)에 대해 "한 대의 유인기에 2대의 CCA를 준비하기 위해 CCA의 규모는 1,000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고, 미 해군도 항모항공단의 무인기와 유인기 비율이 '40%-40%(최종적으로 구체적인 구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크러스트사의 .. 2023. 5. 8. 터키항공우주산업, 5월말 까지 스텔스 무인 항공기 ANKA-3의 첫 비행에 도전 터키항공우주산업은(TAI) " 5월 중순까지 스텔스 무인기 ANKA-3의 첫 비행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현재 튀르키예가 개발중인 5세대 전투기 TF-X와 경공격기 Hürjet, F-16과 같은 유인기와의 연동이 가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푸아트 옥타이 부통령은 지난해 말에 "2023년은 방산업계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며, ANKA-3로 명명된 무미익기 스텔스 무인기가 터키항공우주산업(TAI)에서 등장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튀르키예 정부는 약속대로 지난 3월에 ANKA-3를 공개했고, 현지 언론 취재에 응한 터키항공우주산업(TAI) 관계자는 "올해 5월까지 ANKA-3를 날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주목됩니다. ANKA-3는 기체 하부에 Mk.83을 탑재할 수 있는 웨폰베.. 2023. 4. 29. 튀르키예, 세계 최초로 무인전투기로만 구성된 항모 항공단 시연 베스트 셀러 무인기인 TB2 제조사의 바이락탈 베이카 최고기술책임자는 TB3에 대해 "소노부이 디스펜서팟, 경어뢰, 사거리 수백km의 신형 순항미사일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밝혀 대잠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UCAV 개발 경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스페인의 강습상륙함인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설계를 사용해 건조된 튀르크예 해군용 강습상륙함인 아나돌루함은 당초 F-35B를 운용하지 않아 스키점프대를 생략했으나 튀르키예 해군이 F-35B 도입을 결정하면서 스키점프대 부활과 내열갑판을 갖춘 설계로 변경해 건조되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제 S-400 도입 문제로 튀르키예가 F-35 프로그램에서 추방되어 아나돌루함은 함재기 없이 2019년에 진수되었고, 더욱이 코로나19 여파로 튀르키예 해군에 대한 인도도 2년 늦춰졌습.. 2023. 4.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