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중급유기6

인도네시아, 보잉의 KC-46A가 아닌 A330 MRTT 공중급유기 선택 공중급유기 도입을 검토해 온 인도네시아는 유럽 에어버스의 A330 MRTT 도입을 결정했다고 밝힘으로써, 미국 보잉의 KC-46A는 A330 MRTT와 경합한 모든 입찰(캐나다 한국 폴란드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에서 패하게 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 국방부는 공군 현대화의 일환으로, 공중급유기 도입 검토를 2018년부터 시작했습니다. 2021년부터 인도네이사 국방부는 보잉 KC-46A, 에어버스 A330 MRTT, 러시아 일루신 Il-78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향후 도입할 항공전력(라팔, F-15EX, KF-21)과의 호환성을 고려할 때 미 보잉의 KC-46A와 유럽 에어버스의 A330 MRTT이 최종 후보에 올랐고, 인도네시아 국방부는 지난 9월 5일에 자금조달 옵션과 기술이전 가능성을 고려해 A3.. 2023. 9. 13.
미 공군, 차세대 공중급유기 입찰 예정, 보잉 KC-46A와 록히드마틴 LMXT 경쟁 미 공군이 KC-46A 공중 급유기의 추가 발주를 금지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9월 말까지 KC-135 공중 급유기의 후계기에 대한 정식 정보제공의뢰서(RFI)'를 발행하겠다고 밝혀, KC-135 공중 급유기의 후계기계약을 놓고 보잉의 KC-46A와 록히드마틴의 LMXT가 격돌할 전망입니다. 미국 상원과 하원은 자체 국방권한법(NDAA)을 통과시켰으며, 8월 여름휴가를 마치고 미 의회가 재개되면 상원안과 하원안의 조율작업이 본격화 되어 단일화된 NDAA 최종안이 대통령 책상에 전달될 예정입니다. 특히 미 하원에는제안한 국방권한법(NDAA)에 KC-135 퇴역에 관한 조항이 여럿 포함돼 있어, 미 하원의 안이 미 의회의NDAA 최종안으로 선택된다면 KC-46A의 추가 발주가 금지되고, 차세대 공중급유기.. 2023. 8. 6.
적자의 늪에 빠진 보잉, KC-46A 공중급유기 개발로만 9조 4천억원 적자 보잉은 지난 4월 26일에 투자자들에게 "KC-46A 공중급유기 개발로 2023년 1분기에 약 2.45억달러(약 3천 2백억원)의 손실을 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아직 KC-46A 공중급유기 손실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보잉 방위부문이 KC-46A로 입은 전체 손실은 약 70억달러(약 9조 4천억원)를 돌파했습니다. KC-46A 공중급유기가 재정적인 손실을 보는 이유는 공중급유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개발 중인 원격비전시스템과 (RVS2.0)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보잉에 납품하는 공급업체의 품질 문제(중앙연료탱크 도장 절차가 적절하지 않아 연료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이로 인해 추가 작업과 납기 지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보잉의 칼혼 최고경영자는 "현재 이 문제에 대한 .. 2023. 5. 3.
지연되고 있는 미국 T-7A 훈련기 개발 상황, 양산기 인도는 2023년에서 2025년 이후로 변경 미 공군이 도입예정인 보잉의 T-7A 개발 상황은 좋지 않아 2022년 후반으로 예정됐던 마일스톤C는 2025년 2월까지 늦춰질 것으로 확정됐으며 초기 작전능력 선언은 2027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보잉은 지난 2018년에 미 공군과 차기 고등훈련기인 T-7A 계약을 체결했고, 당초 예정대로 2022년 후반까지 '마일스톤C(양산단계로 가기 위한 심사)를 완료하고 2023년에 양산기(저율 초기생산기) 인도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신형 사출좌석이 설계대로 작동하지 않아 마일스톤C 달성은 2025년 2월까지 늦춰질 예정이어서 '초기작전능력 선언(당초 예정 2026년)'은 2027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T-7A에 탑재예정이였던 사출 좌석은 '파일럿의 체격 조건을 맞출 수 있는 범위'.. 2023. 4. 17.
미국의 C-17에 버금가는 중국의 Y-20 대형 수송기의 공중급유기 버전 등장 2021. 11. 30. 대만 국방부는 지난 11월 28일에 방공식별구역에 27대의 중국항공기가 침투했다고 발표한 자료에서 Y-20의 공중급유기 버전(Y-20 Aerial Refueling·운유-20)이 포함돼 있다고 밝혀 주목되고 있습니다. 중국이 개발한 Y-20은 미국의 C-17에 버금가는 대형 수송기로 최대 66t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대만 국방부가 발표한 것처럼 Y-20의 공중급유기 버전이 존재하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글로벌타임스(환구시보 영자판)는 대만 국방부의 발표에 대한 기사에서 "Y-20 기반의 공중급유기가 최근 해상에서 공중급유 기능을 시험했다“라고 밝혔고 이어 “여유 공간이 넉넉한 Y-20의 기체가 공중급유에 많은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도움이 .. 2021. 11. 30.
K-9 자주포 엔진 국산화 결정, K-2 전차 엔진 기반으로 개발? 우리나라가 개발한 국산 자주포 K-9은 국내는 물론 터키와 핀란드, 인도, 노르웨이, 에스토니아에서 도입하여 운용중이며 총 누계 생산 대수는 1,700대에 달하고 있습니다. 에스토니아와 노르웨이가 K-9 추가 도입을 고려중이며, 호주도 자주포 K-9를 단독 지명하는 등 순조로운 영업을 계속하고 있지만, UAE에는 독일의 엔진 수출 금지로 K-9 엔진인 "MT881KA-500'이 공급되지 않아 수출을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 참고로 K-9의 변속기는 미국의 앨리슨 트랜스미션의 "ATDX1100-5A3'을 라이센스 생산 중이며, 서스펜션은 영국의 호르스트 맨에서 유압식 서스펜션 관련 기술 도입 계약을 맺고 국내 기업이 K-9용 서스펜션을 공급 중입니다. 유럽에서 가장 엄격한 무기수출 조건을 내건 독일은 K-9.. 2020.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