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2 전차7

K2 국산파워팩 탑재하나?, K2 전차 4차 양산 승인 방위사업청은 지난 8월 25일에 "2028년까지 K2 전차150여 대를 도입하는 4차 양산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으며, 아직 4차 양산 사양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국산 파워팩, RWS, APS 등도 채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도 "국방기술품질원의 내구도 평가가 필요하지만 국산 엔진과 국산 변속기로 구성된 파워팩 채용의 길이 열렸다며, 기술 발전에 따라 군이 필요로하는 조건이 충족되면 RWS와 APS 채택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미 K2에는 현대인프라코어가 개발한 엔진이 적용됐지만, SNT다이나믹스(S&T중공업)의 변속기는 국방기술품질원의 승인을 받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3차 양산까지는 국산 엔진과 독일 변속기 조합으로 구성된 파워팩이 채택됐으며.. 2023. 8. 27.
이제 막 나토 가입을 마친 핀란드, 이스라엘에서 '데이비드 슬링' 방공시스템 도입 나토에 정식 가입한 핀란드는 지난 5일에 차기 방공시스템으로 이스라엘제 '데이비드 슬링' 도입을 승인했다고 발표, 급증하고 있는 유럽의 방위장비 수요 속에서 이스라엘은 지속적으로 수주를 늘리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라파엘사가 개발한 '데이비드 슬링'은 이스라엘군이 구축하고 있는 다층식 방공시스템의 핵심적인 존재로 탄도탄 요격에 대응할 수 있는 미국의 패트리어트 시스템(PAC-3)에 해당하는 방공시스템입니다. 데이비드 슬링을 라파엘과 공동 개발한 미국의 레이시온사는 미 국방부에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요격탄(미국명 Stunner)을 패트리어트 시스템으로 통합하겠다"고 제안했고, PAC-3의 후계자로 Stunner를 채용한 Patriot Advanced Affordable Capability-4(PAAC-4.. 2023. 4. 11.
이탈리아, 아리에테 전차 업그레이드 버전 공개, “폴란드에서 한국의 K2 전차를 잡겠다” 이탈리아에서는 지난달 27일에 주력 전차인 아리에테의 업그레이드 모델이 완성되어 이탈리아 육군에 인도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이탈리아 육군을 위해 개발된 54톤의 주력 전차인 아리에테는 1995~2002년까지 총 200대가 실전 배치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미국의 M1 전차의 최신버전인 M1A2SEP이 63.2톤이지만, 당초의 M1 전차의 톤수는 54.5톤으로 미국의 M1 에이브람스는 1,500마력의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독일의 레오파드2 A7버전 또한 66.5톤으로 1500마력의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데 반해 아리에테 전차에 탑재된 엔진은 1,300마력으로 이는 양호한 중량 출력비를 유지하기 위해 중량을 60t 미만으로 낮춘 결과물이지만, 장갑의 두께가 얇아져 전쟁터에서의 생존에 대한 불만이 남.. 2022. 2. 8.
일본의 망해가는 방위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아쉽지만 한국을 따라가야 한다 일본 최대의 경제신문사인 니혼게이자이(일본경제신문)신문은 지난 1월 9일에 일본방위산업에 대한 심층 분석기사를 실었습니다. 최근 일본의 방위장비를 생산하는 기업들이 철수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으며 일본 방위성의 발주건수는 20년전에 비해 절반정도로 줄었습니다. 현재 일본이 개발중인 전투기 등은 일본 기업만으로 개발이 어렵고 미국과 영국 등의 의존도가 한층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위협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일본의 방위산업은 기울어져 가고 있으며, 방위산업의 생존을 위해서는 기술의 선택과 집중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기시 노부오 일본 방위상도 방위장비를 적극적으로 생산할 수 없는 기업들 많아 방위산업이 취약하다라며 위기감을 드러냈습니다. 이렇듯 일본에서도 방위산업의 유지나 문제점에 대해 다룰 기회.. 2022. 1. 14.
폴란드 국방부, “미국의 M1전차 도입해도 한국의 K-2 전차도입은 계속 진행“ 지난 9월 7일부터 10일까지 폴란드의 키엘체에서는 2021 폴란드 방위전시회(MSPO)가 열렸습니다. 이 전시회에서는 폴란드의 방위산업 업체와 해외의 방위산업체도 많이 참가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현대로템도 참가하여 K2 전차의 폴란드 모델인 K2PL을 전시했습니다.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폴란드는 올 7월에 미국에서 M1A2/SEPv3를 도입하겠다고 밝혀 전 세계의 국방전문 매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특히 그동안 한국에서 K-2전차를 도입할 것이라는 폴란드가 갑자기 M1A2전차를 도입하자 국내에서는 아쉬움이 컸을 것입니다. 한국의 시각에서는 폴란드가 M1전차를 도입하게 되면 K-2전차 도입과 관련된 폴란드의 차세대 전차도입 프로그램인 ‘울프프로그램’이 없어지게 되는지 등에 관심이 쏠렸습니다 우선 폴란드 .. 2021. 12. 18.
국산 파워팩 ‘변속기 결함문제 해결’, 내년 상반기 내구도 테스트 실시, K-2전차 4차 양산에 국산 파워팩 탑재 가능 국내 언론에서 SNT중공업의 변속기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국내 언론에 따르면 SNT중공업은 최근 자사의 변속기 결함을 해결했으며 이에 따라 K2 전차의 4차 양산 물량부터 독일산 변속기가 아닌 국산 변속기 탑재가 가능해졌다라고 보도했습니다. SNT중공업 고위 관계자는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변속기 결함과 관련하여 “기술적 문제를 해결했고 내년 상반기 군 내구도 조사만 남았다”라며 “K2 전차의 4차 양산 물량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내 언론에서는 S&T중공업이 어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했는지에 대해 자세히 나오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K2 전차의 4차 양산은 아직 확정되지 않아 S&T중공업의 말대로 물량을 납품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흑표전차의 4차 .. 2021. 12. 9.